1. 심전도 Electrocardiogram
① 정의 : 심장의 심박동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.

② 심근의 전기 활동
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‘+, -’의 전기를 공유하는 심장 세포에 의해 발생하여 외측은 (+) 극, 내측은 (–) 극으로 심장의 전기 흐름은 방향과 힘을 가지고 있다. 또한 심장의 전기 방향은 우상에서 좌하 방향으로 흐른다.
1) 분극 : 심장에 전기적 활동이 없는 상태로 휴식기 2) 탈분극 : 심근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자극받은 쪽은 (–) 전기를 자극을 받지 않은 부위는 (+) 전기를 띠며 (-)극에서 (+) 극으로 자극 전달함 3) 재분극 : 자극에 대한 흥분이 끝난 휴식 상태 |
2. 심전도 기록
심장의 탈분극 과정에서 생성된 전기의 흐름이 신체에 전달되고 이러한 전기적 현상은 대상자의 사지와 흉부에 부착하는 특수 전극에 의해 검출되는데 이 특수 전극을 유도(lead)라고 한다. 심전도의 수평선은 파형의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선은 전압을 나타낸다. 각각의 네모 작은 한 칸은 1mm², 0.04초, 0.1mv 로 전압이 기준보다 높으면 부정맥 발생 확률이 높다. 심박동수 HR = 300/n (n=큰 한 칸의 수=작은 다섯 칸의 수)로 쉽게 계산할 수 있다.
3. 기본 파형의 의미

① P파 : 좌, 우심방벽의 수축을 기록 (폭 - 0.06~0.1초, 높이 – 2.5mm이하)
② PR분절 : 심방과 심실의 흥분 전도 시간 기록 (폭 – 0.12~0.2초)
③ QRS군 : 좌, 우심 벽 및 심실중격의 복합 흥분 소견 기록(폭 - 0.06~0.1초, 높이 – 26mm)
④ ST 분절 : 심실 흥분기 기록
⑤ T파 : 흥분된 심실 벽이 복구되는 과정 의미
4. 심전도 유도
① 표준 사지 유도 : 활동 전국과 기준전극의 두 전극 사이의 전압 사이의 전압의 차를 절대치로 양극 유도 방식으로 오른팔(RA), 왼팔(LA), 왼발(LF)에 부착한다.
* 전극 부착 위치
1) 오른팔(RA): 오른쪽 쇄골 아래 2) 왼쪽팔(LA): 왼쪽 쇄골 아래 3) 왼쪽 발(LF): 왼쪽 5번째 늑간 중심 액와선 |
② 증폭사지유도 : 세 방향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불충분하므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기 위한 단극 유도 방법으로 오른 팔(aVR), 왼팔(aVL), 왼발(aVF)에 부착한다.
③흉부 유도 : 심장을 횡단면에서 바라보는 수평 유도이며,, 표준사지유도와 증폭사지유도에서 기록되지 않을 수 있는 전기신호도 기록될 수 있는 단극 유도이다.
* 전극 부착 위치
1) V1전극 : 4번째 늑간의 우측 흉골 연 2) V2전극 : 4번째 늑간의 좌측 흉골 연 3) V3전극 : V2와 V4 사이 4) V4전극 : 5번째 늑간의 쇄골 중앙선 5) V5전극 : 전액와선전액 와선, V4와 수평 6) V6전국 : 중앙 액와선. V4와 수평 |

[참고문헌] 윤은자 외 공저, 성인간호학Ⅰ, 수문사(2019)
'Nurse > 성인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집단 감염!?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(SFTS ) 증후군이란? (0) | 2020.08.12 |
---|---|
기관절개관 삽입 환자 간호- 정의/절개부위/흡인/빠진 경우/ 제거 (0) | 2020.08.04 |
간질환자 식이 간호/위 절제 환자 식이 간호 (0) | 2020.08.02 |
천식(Asthma) 정의, 원인, 진단 검사 및 중재 (0) | 2020.07.26 |
동맥혈 가스분석(ABGA) Arterial blood gas analysis (0) | 2020.07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