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생애주기별 여성건강관리체계
여성건강 간호학이란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학문으로 임신과 출산, 가족에서 어머니의 역할, 생식기계 건강문제뿐만 아니라 총체적인 인간으로서 여성과 가족의 건강유지 및 건강증진을 관리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. 여성 간호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자는 대상자와 지속적인 관계 유지하면서 대상자의 건강유지와 증진, 질병예방 및 효과적인 건강문제 해결로 최적의 안녕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. 여성건강의 일차적 목적은 대상자의 자가관리 교육, 건강증진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건강 관리자는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.
① 임신 전 상담과 관리
- 임신 전 상담을 위한 내용은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예방하는 것, 원하는 시기에 임신하는 것, 스트레스와 같은 위기관리법, 임신했을 때 태아나 모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이다.
- 건강 관리자는 가임기 여성의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임신 전 사전상담과 관련된 선별 검사를 수행한다.
② 임신
- 임신 중 여성의 건강관리는 임신을 진단하는 것에서 시작되며 임부와 태아의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.
- 산전관리의 주요한 목적은 임부와 태아의 건강상태 확인, 재태기간 산정 및 태아성장 확인, 고위험 임신의 위험인자 규명, 적절한 교육과 상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.
③ 임신조절과 난임
- 가임여성에게 가족계획에 관한 올바른 방법을 선택하도록 교육하는 것과 남편의 지지가 필요하다.
- 최근 난임 환자수가 증가하는 것은 여러 요인이 있으나 그중 가장 주요한 요인은 초혼 연령의 증가 때문이다.
⑤ 월경 관련 문제
- 무월경 , 월경통, 월경전 증후군, 자궁내막증, 다낭성 난소증후군, 월경과다 또는 자궁 충혈 등이 있다.
- 10대 청소년기 여성들로부터 받은 질문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며,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적적한 언어를 사용하여 상담하도록 해야 하고 비밀유지의 원칙을 설명해야 한다.
*비밀유지의 원칙 : 모든 전문적인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원칙으로 고객의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. 단, 대상자가 타인이나 자신을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는 경우, 자살과 관련된 경우에는 비밀유지의 원칙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고지해야 한다.
⑥ 폐경 전/후기
- 여성은 나이가 들수록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자연스러운 신체변화 겪는다. 대분의 폐경 주변기 여성들은 불규칙한 질 출혈이나 혈관성 증상(홍조, 상기)으로 인해 건강관리기관을 방문한다.
- 폐경 전 후기 여성들의 잘못된 통념을 없애기 위해서는 검사 결과를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. 폐경 후 갱년기 증상이라고 생각하여 많은 여성들이 스스로 또는 확인되지 않는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.
'Nurse > 여성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신에 의해 발생되는 신체 변화와 불편감 12가지 (0) | 2020.08.06 |
---|---|
모유수유의 장점, 모유수유 금기증 및 주의 사항 (0) | 2020.08.05 |
임신 전반기 출혈 중 자연유산 원인/진단/증상 및 징후/ 간호와 치료 중재 (0) | 2020.08.03 |
유방검진/ 자가검진을 위한 교육/ 유방암의 증상 (0) | 2020.08.01 |
태아의 성숙- 심맥관계/조혈계/ 호흡기계 등 (0) | 2020.07.3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