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경구 투약
①장점: 경제적이고 간편하며 피부 손상이 없어 안전함
→ 대상자의 위장기능이나 삼키는 데 문제가 없다면 가장 안전하고 용이한 방법
②단점: 위장점막을 자극하고 흡수가 느리며 불규칙함, 치아 손상 가능
2. 금기 : 구토, 위장관 흡인, 무의식, 연하곤란, NPO, 지남력 상실 대상자
3. 주의 사항
- 치아를 착색하거나 에나멜층을 손상시키는 약물은 투여 시 희석 또는 빨대 사용
- 철분제제는 식사 직후에 복용, 장용제피는 씹어 먹지 않음
- 기름 종류의 약은 차가운 상태에서 복용
→불쾌감을 주고 기분이 나쁜 약을 복용 시 대상자가 얼음 조각을 물고 있게 함
4. 경구 투약 고려사항
①라벨을 읽을 수 없고 라벨이 없는 경우는 약국으로 반송
②액체로 된 약은 눈높이에서 따름
③투여 전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설명
④준비한 약물을 투여하지 않더라도 다시 재사용 X
⑤대상자가 약을 다 먹은 것을 확인하고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는 기록
⑥연령에 따른 고려사항
- 영아와 아동 : 약을 주사기로 경구 투여하거나 혀 뒤로 밀어 넣어줌, 음식에 혼합 X
- 노인 : 간. 신장 기능 감퇴 및 지방 비율의 증가로 약물의 축적효과와 독성의 가능성 증가
연하곤란 시 알약보다는 액체로 된 약물을 제공
'Nurse > 기본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혈 Blood transfusion 정의와 목적, 수혈 제제, 부작용 및 간호 중재 (0) | 2020.07.29 |
---|---|
활력징후(vital sign)-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 및 산소포화도 (0) | 2020.07.28 |
근육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, Z track, 공기 폐쇄 기법 (2) | 2020.07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