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활력징후 Vital sign
대상자의 신체적, 정신적, 건강사정의 기본 요소로서, 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을 포함한다.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은 인체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심폐기능의 상태를 반영하는 자료로서 건강에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는 객관적인 자료이다.
① 활력징후 측정이 필요한 경우
- 의료기관에 입원 시
- 모든 수술 전과 후, 수혈 전, 중, 후
- 활력징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투여 전과 후
- 대상자의 전반적인 신체 상태의 변화 시 ex) 의식 소실, 심한 통증 등
② 활력징후 측정에 대한 표준 지침
- 간호사는 대상자의 활력징후 측정에 대한 책임이 있음
- 활력징후의 정상범위를 알아야 함
- 대상자의 병력, 치료, 처방된 약물을 파악
- 활력징후 측정 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 통제
-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 측정 빈도 결정
③ 활력징후 측정 시 주의 사항
- 영아, 무의식 환자, 불안정한 환자 등은 구강 체온 측정 시 질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피함
- 신생아는 직장체온 즉성 시 직장 점막 천공 및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피함
- 직장체온 측정 시 수용성 윤활제 사용
- 경동맥의 맥박 측정 시 중하부를 촉지, 양측 동시 측정은 혈액 공급을 차단하므로 피함
- 전자 혈압계 사용 시 측정하는 동안 동맥과 정맥의 관류가 적합한지 자주 확인
2. 활력징후 측정
(1) 체온 Temperature
- 체내에서 생성되는 열과 손실되는 열 사이의 균형
- 정상 범위 : 36.5°C ± 0.5°C
-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: 연령(신생아, 영아> 성인> 노인), 운동(운동 시 체온 상승), 호르몬, 스트레스, 환경 등
* 체온 측정부위
①구강 체온(설하) |
- 음식 섭취나 흡연 30분 후 측정 - 금기: 영아, 유아, 의식 손상 환자, 구토 위험 환자 |
②직장 체온 |
- 침습적인 방법으로 심부체온측정을 잘 반영함 - 금기: 직장질환 환자, 장 질환 환자, 심장질환 환자(미주신경 자극함) |
③액와 체온 |
- 측정이 쉽고 안전하지만, 외부 온도에 의한 영향으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음 - 금기: 화상 환자, 유아나 어린이는 권장 x(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음) |
④고막 체온 |
- 측정이 용이하고 빠름 - 성인은 후상방, 아동은 후하방으로 귀를 당겨 일직선으로 만든 후 측정 - 금기 : 귀 질환 환자 |
⑤이마 체온 |
- 영아와 아동 체온 측정 시 가장 안전 |
(2) 맥박 pulse
- 좌심실 수축에 의해 동맥에서 촉진되는 혈관의 박동
- 건강한 대상자의 맥박 수는 심장박동 수와 일치하여 말초동맥에서 맥박 측정 가능
- 심혈관질환 환자는 심첨 맥박과 말초 맥박을 동시에 측정하여 맥박 결손 확인
- 정상 범위: 60~100회/min
①요골 맥박
- 1분간 맥박 수 측정
②심첨 맥박
- 좌측 5번째 늑골간과 쇄골 중심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1분간 심음 측정
- 심장에 이상이 있는 환자 맥박 확인 시 사용, 영아나 어린아이에게 사용
③심첨-요골 맥박
-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 사정 시 2명의 간호사가 동시에 요골과 심첨 맥박 측정
* 맥박 측정 시 고려사항
-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
- 대상자가 신체적 활동을 한 경우 30분 정도 휴식 후 측정
- 운동선수의 안정 시 맥박은 낮을 수 있음
- 맥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: 나이, 성(여성> 남성), 운동, 열, 약물(에피네프린 복용 후 맥박 증가, 강심제 복용 후 맥박 감소), 출혈(보상기전에 의해 맥박 증가), 스트레스, 체위 변화 등
(3) 호흡 Respiration
-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
- 정상범위 : 12~20회/min
- 대상자의 맥박을 체크하면서 동시에 호흡도 확인
-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: 연령, 성별, 운동, 열, 약물(감소: 마약성 진통제, 진정제, 증가: 카페인), 출혈, 스트레스 등
(4) 혈압 Blood Pressure
- 심장에서 방출된 혈액이 혈관 벽에 닿을 때 형성되는 압력
- 정상 범위 : 120/80mmHg
- 혈압 결정 요인 : 심장의 수축력, 말초혈관 저항, 순환 혈액량, 혈액 점도, 동맥 탄력성 등
(5) 산소 포화도 by pulse oximetry
- 비침습적이고 간편하여 지속적으로 동맥혈의 산소포화도 평가
- 정상 범위: Sp02 : 95~100% , Sa02 : 95~100%
- 적용부위 : 귓불, 손가락, 발가락, 코 끝
- 산소 포화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: Hb, 순환, 활동성, 일산화탄소 중독 등
<참고문헌> 김종임 외 공저, EBN 기본간호학 Ⅰ, 수문사
'Nurse > 기본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혈 Blood transfusion 정의와 목적, 수혈 제제, 부작용 및 간호 중재 (0) | 2020.07.29 |
---|---|
#경구투약 (2) | 2020.07.24 |
근육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, Z track, 공기 폐쇄 기법 (2) | 2020.07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