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수혈의 정의와 목적
① 정의 : 심한 출혈이나 빈혈이 있는 대상자에게 혈장 성분 또는 혈구 성분을 타인으로부터 공급하는 것
② 목적
- 산소운반능력 높이기 위함
- 혈액응고인자, 혈소판,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 보충
- 출혈로 인한 쇼크 치료, 급성/만성 빈혈 치료
2. 수혈 제제
-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RBC 농축적혈구 제공(Hb의 정상 수치는 여성 12~16g/dl, 남성 13~18g/dl)
- 혈소판 수치가 낮은 경우 PLT/Apheresis : 심한 출혈 시 혈소판의 소치가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혈소판 수혈 준비
- 여러 번 수혈로 인해 백혈구나 혈소판에 대한 항체가 형성된 경우 백혈구 제거 혈액 제공
- 과민 반응이 심한 경우 washed 혈액 제공
3. 수혈 간호중재
- 처음 15분간 분당 15~20gtt의 속도로 시작(gtt : 분당 방울 수)
- 시작 후 30분 동안 활력징후 관찰하고 이상이 없으면 분당 20~40 gtt로 수혈 속도 증가 시킴
- 부작용은 수혈 시작 후 5~15분 이내에 발생하므로 지속적인 대상자 주의와 관찰 필요함
4. 수혈 시 주의사항
- ABO혈액형, RH혈액형, 교차 접합 시험 후 가능
- 수혈 직전 혈액은행에서 혈액을 가져오며 20분 이내에 수혈 시작
- 적혈구 등 세포를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수혈 시 주사기 18~20G 사용
- Chamber 3/4 이상 채움
- 생리식염수 외에 다른 수액제제는 혈액과 같이 투여할 수 없음. 특히 포도당 용액은 용혈이나 혈액 응고를 초래할 수 있음
- 수혈 시작 후 최대 4시간 이내에 끝내야 함
5. 수혈 시 부작용
- ABO형 부적합에 의한 용혈 반응
- Rh 식 혈액형 부적합
- 오심, 호흡곤란, 흉통, 알레르기 반응, 저혈압, 빈맥 등
- 질병 전파 ex) 혈액 감염 질병-에이즈/ 바이러스 전파-B형 감염
6. 수혈 부작용 발생 예방 간호
- 대상자의 성함을 개방형 질문으로 묻고 등록번호와 대상자 입원 팔찌 대조하여 확인
- 수혈할 대상자와 혈액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검사
- 정확한 대상자와 혈액을 확인하기 위해 2명의 의료진이 확인
- 혈액은행에서 제공받는 혈액의 혼탁도 또는 침전물 확인
- 수혈 전/중/후 대상자의 활력징후 확인
<참고문헌> 김종임 외 공저, EBN 기본간호학 Ⅰ, 수문사
'Nurse > 기본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활력징후(vital sign)-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 및 산소포화도 (0) | 2020.07.28 |
---|---|
#경구투약 (2) | 2020.07.24 |
근육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, Z track, 공기 폐쇄 기법 (2) | 2020.07.24 |
댓글